"노들섬"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
통합검색(2)
정치(0)


서울 노들섬, 연간 150만 명 방문…서울 대표 문화 랜드마크로 도약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노들섬이 2023년 대비 방문객 수가 약 35만 명 증가한 150만 명을 기록하며 서울의 대표 문화 명소로 자리잡았다. 다양한 축제와 공연, 전시 프로그램이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을 끌어모으며 노들섬의 문화예술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지난해 서울문화재단이 운영을 맡은 후 노들섬에서는 서울서커스페스티벌, 서울뮤직페스티벌, 서울비댄스페스티벌, 서울미식주간 등 굵직한 행사가 연이어 열렸다. 특히 어린이날 연휴에 열린 서울서커스페스티벌은 궂은 날씨에도 3만여 명이 방문하며 개관 이래 최대 일일 관람객 수를 기록했다. 상시 공연 프로그램인 <문화가 흐르는 예술섬 노들>도 시민들의 발길을 모았다. 총 40회의 공연이 진행돼 2023년 대비 41% 증가한 2만 4천여 명이 관람하며, 노들섬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재단은 이를 바탕으로 올해도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올해는 국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노들노을스테이지>가 4월 12일부터 주말마다 열리며, 인디뮤지션 공연인 <노들인디션>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이어진다. 이 외에도 노들 갤러리에서는 유망 작가들의 전시가 지속돼 예술섬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노들섬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노후 공간 바닥재를 보강하고 상단부에 오솔길을 조성하는 등 기반 시설도 개선하고 있다. 아울러 2028년 완공 예정인 토마스 헤더윅의 국제공모 당선작 ‘소리풍경(Soundscape)’이 완성되면, 노들섬은 세계적인 예술섬으로 거듭날 전망이다.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노들섬은 서울 한복판에서 자연과 예술,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과 환경 개선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열린 문화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3.31

발길 뜸하던 한강카페, 로컬브랜드로 활기 찾아 시민 이용이 저조했던 기존의 교량 카페 4곳이 전문성을 갖춘 민간 로컬브랜드로 바꾼 후 활기를 되찾고 있다. ‘로컬브랜드 카페’는 10월 24일 한강대교 1곳과 양화대교 2곳을 오픈한 데 이어, 11월 17일 한남대교 카페까지 정식 영업을 시작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총 방문객 수는 11월 25일 기준 1만여 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한강대교 북단에 있는 ‘어반플랜트’는 마치 식물원에 온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카페다. 노들섬, 이촌한강공원의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커피는 물론, 샌드위치, 파스타 등 식사도 즐길 수 있다.어반플랜트 ‘한남대교점’ 역시 실내 정원 콘셉트의 브런치 카페로, 한강의 아름다운 야경 뷰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다리 남단에 위치하며, 개점 일주일밖에 안된 신생 카페다. 양화대교에 위치한 ‘카페진정성’은 서편에 ‘커피하우스’와 동편에 ‘티하우스’가 나란히 서로를 마주 보고 있다. 선유도와 한강의 아름다운 노을을 감상하면서, 맛과 향을 즐기기 적합한 카페다. 양화대교 남단에 위치한 ‘커피하우스’는 테이크아웃 위주의 공간으로 운영되며 시그니처 메뉴인 ‘밀크티’가 인기다.‘티하우스’는 우리나라 전통의 우전 녹차와 매장에서 직접 갈아낸 말차 등을 바리스타가 직접 블렌딩해주는 콘셉트가 특징이다. 다양한 차를 천천히 음미하며 머물다 쉬어갈 수 있는 힐링 공간으로 기획됐다.양화대교의 카페진정성을 찾은 한 고객은 “노을 질 때 분위기가 최고라 저녁쯤 서편 창가 자리는 항상 만석이다”라며 “밀크티를 마시러 왔는데 다음에 녹차를 먹으러 동편으로 가봐야겠다”라고 전했다. 주용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로컬브랜드 사업자들의 참여로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찾고 싶은 명소로 거듭나고 있다”라며, “새롭게 탈바꿈한 한강 ‘카페’에서 여유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4.11.29